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안경

by 연연줌마 2025. 6. 14.

안경(眼鏡)은 눈의 굴절 이상을 보정하거나, 눈을 보호하거나, 몸을 치장하기 위한 기구이다.

 

안경은 안경테, 안경알로 구성되어 있다.

 

안경테의 경우는 사람마다 기호에 따른 차이가 있고 안경알은 사람의 시력이나 눈의 이상 정도에 따라서 다르다.

 

안경은 안경테가 없는 소프트렌즈와 비교될 수 있는데 안경테가 없이 눈알에 직접 착용한다는 점만 다르고 시력을 교정한다는 큰 의미로서는 같다.

 

안경 사용자가 근시인가 난시인가 혹은 시력에 따라서도 안경알이 달라지는데 근시인 경우 오목 렌즈를 사용하고 원시인 경우 볼록렌즈를 사용하게 된다.

 

안경은 테의 유무에 따라서 일반적인 안경테, 반무테, 무테로 나눌 수 있다. 안경테는 연령대에 따라서 착용하는 종류가 다르고, 사람의 기호에 따라 패션을 위해서 착용하는 종류가 다르다.

 

주로 젊은 세대는 안경테로 두꺼운 뿔테를 사용하고, 알이 큰 것을 착용하기도 한다. 좀 나이가 있는 직장인들은 흔히 반무테나 무테를 사용하고, 일반적인 안경테를 사용하더라도 테가 얇은 것을 사용한다.

 

시력에 이상이 있는 노인분들은 안경을 시력 교정의 용도말고도 돋보기의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근래에 안경은 패션의 일부분이 되기도 해서, 시력이 나쁘지 않더라도 도수가 없는 알을 사용하여 안경을 쓰고 다니는 사람들도 있으며, 알이 존재하지 않는 패션안경, 또는 선글라스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많다.

 

 

안경의 효용

 안경을 통해 바다를 바로 볼 수 있다.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는 목적 말고도, 안구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강한 광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선글라스나,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전용 안경 등 여러 목적으로 사용된다.)

 

렌즈


안과 도수 검사에 이용하는 것 말고, 일반적인 안경에는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 등이 이용된다.

굴절 작용에 따른 분류
눈의 굴절 이상에 따라 다른 종류의 렌즈가 사용된다.

 

근시
오목 렌즈

 

원시
볼록 렌즈

 

난시
근시나 원시의 유무에 관계 없이, 대부분의 사람은 난시를 갖고 있다.
각막난시와 수정체난시가 있다.

 

노안
볼록 렌즈 노안은 눈의 조절 기능이 나이가 듦에 따라 약해져, 수정체를 부풀려 가까운 곳에 맞추는 것이 힘들어졌을 경우에 일어난다. 원시와는 굴절 이상의 상황은 완전히 다르지만, 원시용과 같은 볼록 렌즈로 보충할 수 있다.